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청봉-봉정암-구곡담-백담사(1)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6. 30. 18:18

본문

봉정암 석가모니 사리탑.

대청봉에서 바라본 주위경관 및 산세.

화채봉 능선 너머 속초시.

영랑호,청초호 경동대학교 설악제2캠퍼스 등 줌으로 댕긴다.

서북능선의 귀때기청봉도 조망된다.

대청봉은 설악산의 주봉으로,예전에는 청봉 또는 봉정이라고 불렸다.

높이 1708m 의 대청봉은, 남한에서 한라산[1950m] 지리산[1915m]에 이어 세번째로 높은 봉이다.

내설악과 외설악의 분기점을 이루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동서남북 어디서나 아름다운 설악의 전경을, 모두 관측할 수 있는 전망대 역활도 하고 있다. 

광복30주년 한국산악회창립 30주념 기념 동판.

색이 바래친 잎사귀 너머의 설악의 운치.

공룡능선,천불동 계곡

귀때기청봉-중청봉-대피소.

바위의 조화.

대청봉.

중청대피소.

선두조는 출발했고,중간조 휴식 중.

중간조 출발, 후미조 도착.

후미조는 아침식사 중.

오색지구에서 백담지구로 진행.

울산바위,용아장성, 공룡능선.권금성.

구절초가 화사하게 반긴다.

화채봉을 배경으로 후미조도 이동.

중청 대피소는 철거중이라 하는데, 리모델링 공사를 하는지...

황철봉,울산바위를 배경으로  한 장 남긴다.

서북능선, 한계령방향의 갈림길.

잠시 홍엽에 잠겨든다.

회운각 대피소.

소청봉 가는 테크로드.

테크로드에서 설악의 바위와 함께

하얀바위와 깊어가는 가을의 정취를 안고

한계령으로의 능선.

소청봉이 가까워지고,노인봉 범봉 울산바위도 자리잡고 있다.

마등령,구곡담 계곡.소청으로 내려가는 계단은 절대 실망을 주지않는 공간이다.

중청봉에 위치한 강우 레이다.

얼굴모양 바위.

용아장성,구곡담 계곡.

권금성-화채봉을 배경으로

소청봉.

소청봉과 희운각 대피소 갈림길.

봉정암 방향으로 향한다

희운각 대피소에서,공룡과 비선대의 천불동 계곡으로 나누어진다.

소청 대피소 이정표.

소청 대피소.

공룡능선을 배경으로,소청 대피소에서.

쉼터겸 의자형 나무?

기암괴석 옆으로 이동.

하나하나 싸아올린 돌탑

삼형제 바위?

봉정암 부처바위.

부처바위아래의 봉정암.수천년을 저런모습으로 유지하고 있으니 부처님의 염력이 대단하다는것을 실감한다.

애닮은 부녀지간 의 정.

다칠까봐 위에서 밧줄로 잡아주고

부처바위전경.

바위기단위 5층석탑이 멀리 조망된다.

줌으로 댕긴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5층석탑.

우리나라에서 가장 기가 충만한 곳 중의 하나인 봉정암 부처바위 전경.

잠시 쉬어간다.

산박하.

봉정암은 해발 1244m 위치하고,지리산 법계사 [해발 1400m]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곳에 위치하고 있다.

시원한 감로수에 감사를 드리며-

대표적인 불교성지인 5대 적멸보궁중의 하나로서, 불자가 평생에 꼭 가야할 순례지로서도 유명하다.

108배 대법당.

사리탑 이정표.

석가사리탑 안내문.

윤장대.[불교에서 경문을 넣어두기위해 만든 책궤]   내부에 불경을 넣고 손잡이를 돌리면서,극락정토를 기원하는 의례도구.

암벽에 새겨진 석가사리탑.

보물제 1832호 석가사리 오층석탑.

고려시대 양식을 따른 석탑은 부처의 뇌사리를 봉안 하였다고 하여 "불뇌보탑"이라고 도 부른다.

자연암석을 기단부로 삼아,그 위에 오층의 몸체를 얹혔다.설악의 온 산이 불멸의 몸이 깃든 이 탑을 받들고 있기 때문이라 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