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선산 보건소-비봉산[동생봉-형제봉]-선산 보건소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7. 25. 16:53

본문

비봉산의 유래비.

산행지도.

선산초등학교 뒷편 주차장에 주차.

선산보건소.

비봉산 충혼탑 안내문.

홍살문이 있는 충혼탑 계단을 오른다.

선산출신 독립 유공자 공적비 안내문

독립유공자 공적비 13인.

독립 유공자공적비 건립 취지문.

비봉산충혼탑.

호국의 영령분들을 참배하고...

다시 계단을 내려가며 중간지점,우측 비봉산 입구로 들어선다.

휴대폰 사진 올리기 열심히 배우는중

비봉산 공원입구.

비봉산 등산로 안내도.

김서령 시인의 비봉산.

형형색색의 연필을 깍아 세운공간.

곳곳에 시구절이 적혀 있는 안내판이 있다.

다리테크.

지압로도 한켠에 설치되어 있다.

솟대공간.

발지압의 구조

비봉산의 유래비.

두개의 정자가 있는 쉼터구간.

다시 쉼터가 있고 안내판이 보인다.

인.의.예.지. 약수터.

영봉정 가는 이정표.

비봉산 종합 안내도.

안내도 앞에서.

산자락아래 3채의 아파트, 하산 날머리 지점이다.

평상쉼터공간.

선산의 역사.

우리 고장의 인물들.

서울이 못된 선산 안내문.

봉황이 머무는 비봉산 안내문.

많은 분들이 등산겸 휴식을 즐기러 산행을 한다.

영봉정 갈림길.

우측 경사진 능선을 오른다.

하얀 산철쭉도 피어나고 있다.

분홍색 산철쭉도 활짝 핀 상태.

영봉정 입구의 산철쭉 등로.

철쭉 등로.

선산 영봉정.

시민의 번영을 축원하고,건강한 심신도야의 공간인 선산 영봉정.

금오산이 보이고 너른 벌판의 선산읍.

선산읍 교리방향.

낙동강이 흐르고 선산읍 진입다리인 숭선대교를 댕겨본다.

구미시로 향하는 33번 국도.

영봉정 내의 편액.

영봉정 안내문.

왼쪽으로 이동.

운동시설이 있는데 이곳이 매봉 이다.

매봉 표지기를 남긴다.

형제봉으로 이동.

뒷편으로 내려가는 등산로.

작은 돌탑을 지나고.

병아리 꽃나무.

부처바위 가는길.

이정표 갈림길.

커다란 바위도 한번씩 보인다.

다시 이정표를 만나고.

신산가는 삼거리갈림길 안부

돌탑과 평상이 있는 433.8 m. 여기서부터 형제봉 까지는 기양지맥.

신산이 살짝 비친다.

신산왕복하려 했으나 깊은골이 두개가 있어, 포기하고 되돌아 나온다.

다시 삼거리 안부로 오니 등산객 일행이 우측으로 내려간다.

분기점 안내판.

부처바위 안내문.

부처바위 일대.

바위의 모양이 부처가 누워 있는것처럼 보인다고...?

혹은 갈라진 바위가 붙어 있다고 붙여진[부처진] 바위로 이름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하고...

부처바위 아래

꼬부라진 소나무.

갈림길에서 직진.

갈등고개. 임도로 편하게 이동, 아니면 가파른 능선을 타고 이동 해야할지의 갈등.

아니면 칡과 등나무가 많아서 지명을 갈등이라 했는지... 

갈등고개 맞은편 가파른 능선으로 오른다.

능선이 가파르다.

동생봉인 헬기장.

비봉산 형제봉 마루석.

형제봉 뒷편의 낙동강은 신산을 휘돌아 선산읍 앞에 흐르는 감천을 끌어앉아 남으로 흘려 내려간다.

비봉산 형세가 봉황을 닮아 어깨죽지에 해당하는 형제봉 대신   

이곳 사람들은 봉황의 머리부분을 주봉으로 보아 비봉산으로 부르고 있다.   

비봉산정상에서 기양지맥과 작별하고 선산읍 방향으로 이동 한다.

산불감시초소.

저수지도 조망.

돌탑봉.

죽장사 가는 갈림길.

주공 아파트 가는 표시판.

주공 한효 아파트.

이정표.

대구로 이동후 하산주.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