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팔공산 둘레길 2.3.4 구간.[팔공 문화원-덕곡삼거리]1.

팔공산 둘레 길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7. 7. 07:24

본문

팔공산 둘레길 2구간 지도.

팔공산 둘레길 2구간. 

오늘은 나 홀로 산행이다, 팔공 문화원에서 시작된다.

영불사방향 의 부남교로 이동.

영불사 표지석.

전원주택.

부남교 이정표를 지나,둘레길로 접어든다.

둘레길 이정표. 사자바위로 이동.

나무계단 목교.

산자락을 벗어나니 주택이 나온다.

이정표는 군데군데 편리하게 설치되어 있다.

겨우내 얼었던 물은 해빙되어 흐른다.

다시 산자락을 오른다.

반가운 표지기들.

사자 바위 일대.

사자바위.

뒷모습의 사자바위.

팔공산의 유래.

이여송 고개. 명나라 이여송  장군?

소나무 사이의 둘레길은 호젖하기만 하다.

동그란가지의 소나무도 보고.

팔공산 정상이 살짝 비친다.

석축의 흔적이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군을 이끌고, 이곳을 지나가기 위해 돌을 쌓았다는 이여송 고개.

여기서 부남교 까지 왕건길과 둘레길이 합류된다.

왕건길 표지기.

쉼터.

묵연의 소나무 길.

마을 상수도용 식수.

세갈래길.

묵연길과 상중심마을 안내문.

소류지.

소나무의 자태.

묵연.

바위에 새겨진 묘비명.

구계 서침선생 묘소. 대구의 구암서원에 제향.

상중이 마을.

묵연센터 쉼터공간.

달성서씨 중심재 내의 비각.

달성서씨 중심재.

중심재 안내문.

묵연센터 쉼터.

상중이 마을의 감나무 노거수.

마을앞 도로 개통 감사비.

부남교로 이동.

엄나무와 대나무 밭.

해빙된 시냇물은 이른 봄의 향기를 벌써 느끼며 흐른다.

예전에 공사중인 다리는 완공된 상태.

둘레길은 공사중.

밭 옆의 오솔길.

용수마을.

부남교.  2구간이 끝나는 지점 이다.

팔공산 둘레길 3구간 지도.

팔공산 둘레길 3구간

왕건길 표지석도 자리잡고 있다.

둘레길 3구간을 이동 한다.

용수동 유래와 당산 안내문.

팔공산 도로주위에는 미나리 재배단지도 많다.

팔공산과 용수동 마을.

대나무와 소나무의 사이의 둘레길.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