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팔공산 둘레길 1구간.

팔공산 둘레 길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7. 5. 22:52

본문

북지장사  지장전.

북지장사 안내문.

북지장사 가는 길.

북지장사 주차장.

포대화상.

북지장사 가람 배치도.

일주문으로 들어선다.

보물 제805호 지장전.

4개의 기둥이 지장전을 떠 받치고 있다.

북지장사 지장전 안내문.

1731년에 세운 "지장사 유공인 영세불망비"

산중의 덕망 있는 어른이던 영암당() 옥준대사()가 젊은 시절 세상을 두루 떠돌다 돌아와 병신년 이 절에 주석하게 되었다. 절의 스님들이 종이를 만들어 관가에 바치는데 아아, 그 수고로움이 견디기 어려워 한 가닥의 머리카락으로 천 근의 무게를 지탱하는 듯하여 신라시대의 고찰이 무너져내리는 일이 아침저녁을 다투는 지경이었다.  조선시대 불교와 절집의 실상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이다.

설화당.

대웅전.

새로 건립된 대웅전.

동 서의 쌍탑.통일신라시대 후기의 석탑이다.

동쪽의 삼층석탑.

화림원.

서쪽의 삼층석탑.

멍멍이들도 있네요.

청빈의 덕.

담장 한켠의 노거수.

목탁 삼인방.

입구에서 점심을 간단히 요기한다.

2기의 돌탑.

절 구경을 하고 다시 왔던길로 내려간다.

산불감시초소.

다시 둘레길로 접어든다.

서당마을로 이동.

소나무 숲길을 밞으며.

평상이 있는 쉼터.

야자매트.

삼각점.

하동정씨 거북이 비석군이 보인다.

하동정씨 도선산 입구 표지석.

하동정씨 비석.

후미조도 거의 다 왔네요.

서당마을로 가지않고 바로 직진한다.

명품 소나무.

백안마을.

시멘포장도로.

공산초등학교.

백안동 유래.

1구간이 끝나고, 2구간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팔공문화원.예전에 공산 동사무소 자리

주위에 영세불망비 아니면 공덕비 2기가 서 있다.

팔공 문화원에서 1구간 끝나는 지점.

남천열매.

대방어회.

버스를 타고 아양교에 하차.캠핑카와 승용차 를 타고, 경산으로 이동  하산주를 한다.

팔공산 16구간 둘레길 안내문.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