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월 청령포1.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2. 27. 15:35

본문

청령포 표지석.

영월버스터미널.

영월 안내도.

영월 서부시장.

영월을미의병창의비.

영월의병 항쟁약사.

군청 사거리.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 출생이며,제11~14대 국회의원을 지낸 고, 심명보 국회의원 공적비.

난고 김삿갓 상.

김삿갓 [김병연] 안내문.

거리 설치전,  전시기획 이재구, 영월공감.

지금, 영월, 여기에 있다.

원형모양의  군청사거리.

 

열녀각과 효부각.

온양방씨 열녀각, 경주이씨 효부각 안내문.

엄병수지처 온양방씨 열녀비.

경주김지학처지정문.

좌,우 효자각.

김지룡 효자각, 엄윤 효자각 안내문.

효자선능참봉 김지룡지 정려.

효자통정대부 엄윤지문.

목민관들의 송덕비.

네곳의 효자각 

봉래산.

봉래상 정상부의 별마루 천문대를 댕겨본다.

노송.

동강사진 박물관.

영월산수, 제20회 동강국제사잔제 거리설치전 안내도.

공설 운동장.

영월 교육지원청.

청령포 입구 표지판.

영월 소방서 및 창령포 입구 회전 교차로.

어계비원.

생육신 중의 한 분인 어계조려 선생의 비원.

생육신 중의 한분이신 어계선생은 단종 임금의 승하소식을 듣고 급히 영월을 향해 떠났으나 서강 물이 불어 강을 건너지 못햬서 쩔쩔매자 어디선가 호랑이 한마리가 나타나서 등에 어계 선생을 태워서 강을 건네 주었다는 설화가 전해 내려온다.
그래서 '정절공 어계조려선생 사적비'가 호랑이 등 위에 세워져 있다.[폄]

이 비원은 단종이 선위에 즈음하여 절의를지키신,생육신 어계 조여 선생의 충절을 후세에 남기기 위하여,1988년 5월 영월충절헌장회가 단종의 유배지 이곳 청령포 가까운 곳에 세웠다.

호랑이 뒷모습.

선생은 경상도 함안 사람으로 써 군북면 원북마을 어계고택에서 출생,단종을 위해 벼슬을 버리고 영월에서 단종의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르고 왕의 얼을 동학사에 모셨다.

백세청풍.

어계선생이 단종을 그리워하며 지은 칠언고시'구일등고시' 시비.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죽은 사육신의 대비하여 목숨을 잃지 않고 살았지만 평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초야에 묻혀 살았던 사람을 생육신이라 하는데, 김시습(金時習)·원호(元昊)·이맹전(李孟專)·조려(趙旅)·성담수(成聃壽)·남효온(南孝溫)이다. 

사육신이 절개로 생명을 바친 데 대하여 이들은 살아 있으면서 귀머거리나 소경인 체, 또는 방성통곡하거나 두문불출하며, 단종을 추모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호랑이를 타고 강을 건넌 전설.

도로옆 군수 송덕비.

어계비원 안내문.

어계비원 입구.

청령포 가는 표지판.

영월강변 저류지 수변공원.

수변공원 도로의 자전거길 조성.

도로 옆 일찍선 느티나무.

교통 표지판 너머 청령포 육교.

마차.

발산.

청령포 교차로 옆 영월 상징물.

청렴포.

청령포 매표소 건물.

영월관광센터.

운탄고도 1330 1길 이정표.

강원을 걷다. 운탄고도 1길~9길 안내도.

별빛 트레킹길 안내도.

운탄고도 1길 이정표.

두견새 우는 청령포 노래비.

영월군 관광 안내도, 영월10경.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