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봉정암-오세암-백담사3.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1. 25. 11:55

본문

  봉정암에서 오세암 방향으로 7개의 고개를 넘어면서 이동

   용아장성은 비탐방로 이지만 가끔 등산하는 꾼들이 있는 모양이다.

안전산행 하는것이 중요하다, 봉정암 옆 오세암으로 가는 등산로 로 하산.

한참 후 가야동 계곡다리.

     마등령과 오세암의 갈림길.

      오세암 도착

 원래는 관음전인데 오세암이란 현판이 걸려있지만 요사채로 쓰는것 같다.

    오세암 내 관음보살.

       동자전에 봉안된 오세동자상.  오세동자로 인하여 오세암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

       동자전 뒤로 보이는 바위가 관음 조암 이다고 함.

  천진관음보전.

 천진관음보전에 봉안된 백의 관음보살.

        황금빛 동종.

 관음전 뒤 우측바위가 관음조암으로 전설에 나오는 관음보살의 응신이고.중간바위가 관음보살이 오세동자를 아이처럼 안고있는 어머니 바위

     오세암과 봉정암의 갈림길.

     계곡물에 발을 담그고 피로를 풀어 봅니다.

        운?당  백담사의 어느 큰스님의 부도인가 봅니다.

  수렴동 계곡 이야기.

     백담사 입구 돌탑이 보입니다.        

     하얀돌탑이 나라의 안녕 번영을 기원하며 세운것 같은 느낌 입니다.

        소원성취 극락왕생.

     백담사 일주문.

         백담사 내의 오세영 시인의 비.

     법당앞의 연등.

    법당 앞 좌측편 방이 제12대 대통령께서 머물다 가신 방입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진 흔적.

      머물다가신 흔적 때문에 백담사가 더 유명해지지 않았나 생각 합니다.

    감로수로 목을 축이고

        극락보전.

      연등사이의 삼층석탑.

   만해 한용운 선생님 흉상.

   만해 기념관내 위당 정인보 선생의 어록과 추모시.

     님의 침묵.

    만해가 기거한 심우장과 애국지사 분들.

       대한민국 건국훈장.

    민족대표33인과 기미독립선언서에, 만해는 공약3장을 적어넣기도 하였다.

    이곳 백담사에서 만해는 님의 침묵,불교 유신론을 썻다고 한다.

  수심교 난간에서.

셔틀버스를 타고 용대리 주차장 도착, 속초시로 이동.

   백담사를 떠나 미시령도로에서 바라본 울산바위.

      외설악에 위치한 울산 바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