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제8대 아달라왕, 제 53대 신덕왕, 제 54대 경명왕 무덤이 한 곳에 모여 삼릉을 구성하고 있다.
배동삼릉 안내문.
이 곳 삼릉주위의 소나무 숲은, 새벽 안개가 피어오르면 그야말로 신비스럽다.
지지대를 받친 소나무.
소나무 숲에 둘러싸인 삼릉 전경.
일제 강점기시절 일본이 우리나라 소나무를 대거반출시, 굽어 있었기때문에 무사하여 울창한 숲이 조성 되었다.
경애왕릉가는 석교.
경애왕릉 안내문.
신라 제55대 경애왕릉. 재위기간[924-927]
927년 포석정에서 잔치를 베풀고 있을때 후백제 견훤의 습격으로 생을 마쳤다.
삼릉의 비문. [신라 경명왕,신덕왕,아달라왕]
중간의 신덕왕은 두 차례나 내부 발굴 조사중,굴식 돌방 무덤으로, 돌방 벽면 내부에 색이 칠해져 신라의 무덤으로는 처음 발견되어 주목된다.
경주 남산일원은 수많은 유적 불적들이 산재해 있어 있어 ,2000년 12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 되었다.
나무테크 위에서 인증샷.
테크는 뱀처럼 꼬부라진 소나무 사이로 연결되고.
경주국립공원알림판, 탐방로 안내도와 이정표,문화유산 탐방로.
제1사지 탑재와 불상.
삼릉곡 제1 사지 탑재와 불상 안내문.
탑재와 불상.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제2 사지 석조여래좌상 안내문.
머리와 두 수인이 파손된 상태이지만,넓고 당당한 어깨와 위풍당당한 모습의 불상이다.
석조여래좌상.
1964년 8월 동국대학교 학생들에 의해 약 30m 남쪽 땅 속에서 머리가 없는 상태로 발견 되었다.
마애관음보살상 안내문.
돌기둥 암벽에 새겨진 마애관음보살상.[유형 문화재 19호]
얼굴은 풍만하고,머리위에는 삼면보관을 썼고,입가에는 자애로운 미소가 뚜렷하다.
이정표, 흰색문자는 산행안내, 황색문자는 문화재 안내.
계곡입구에 세 개의 능이 있어,삼릉계라 하는데,계곡이 깊고 여름에도 찬 기운이 돌아 "냉골"이라 함.
석굴? 고인돌?
선각육존불 가는 이정표.
선각육존불.[유형 문화재21호] 국내 선각마애불중 으뜸가는 작품이다.
아미타삼존. 본존불은 서 있고,좌 우 보살은 앉아 있는 형태.
석가삼존. 본존불은 앉아있고,좌 우 보살은 서 있는 형태.
선각 육존불 안내문.
선각 육존불 상세도.
사슴벌레의 외출.
암벽위로 층층이 계곡수가 흘려 내린다.
40m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으로 간다.
암벽과 소나무 사이로 좌상이 보인다.
제6사지 석탑터 주위의 바위군락지.
제6 사지 석탑터 안내문.
아기고래 모습의 바위.
망산일대.
지금은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진 삼층석탑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안내문.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측면.[보물 제666호]
머리가 떨어져 있던것을 일제 강점기시절,시멘트로 잘못 복원하였고, 광배가 무너져 깨져있는것을 최근에 새롭게 보수 하였다.
원래는 석축이 없었고 지하계에서 솟아오르며, 환한 햇살을 받으며 옆의 솟아난 바위와 조화를 이루었다고 하던데...
옆의 석굴.
제6사지 마애여래선각좌상, 석조약사여래좌상터 안내문.
마애여래선각좌상.
석조약사여래좌상.
1915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석조약사여래좌상터. 주위에 기와조각이 흩어져,작은전각이 있어든것으로 추정. 1915년 일제가 경복궁에서 "조선물산공진회" 박람회를 열어 전국의 사찰에 있는 탑 불상 등 문화재를 전시 수탈하고, 주위의 궁궐터를 없애고 조선 총독부를 건립하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하였다. 아직도 많은 문화재가 제 자리를 못찾고 있다!
가방에 깃대를 달은 문화 해설사님께서 재미있게 설명 해 주신다.문화재는 제자리에 있을때 빛을 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