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동천등산-개목사-봉정사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7. 23. 06:45

본문

천등산 마루석.

오늘 처음보는 등산객 한 분이 의자에서 휴식을 취하고 계신다.

천등산 정상일대.

단체사진.

묘소에서 등산객분과 담소를 나누고,개목사로 하산한다.

하산등로.

봉정사 1.2km.

개목사 

개목사의 연혁과  고려 충신 포은 정몽주의 단심가등 시문 두편이 있길래,설명문에 포은 선생이 이곳 개목사에서 10년 간 공부 하였다 한다.

요사채.

천등산 개목사.

보물 제242호 원통전.

안동 개목사 원통전 안내문.

산신각.

산신각 내부.

신중탱화 봉안.

종무소와 그윽한 풍경소리.

목가적인 풍경을 안고있는 개목사 전경.

봉정사 0.5km

봉정사 내려가는 길은 움푹하다.

사잇길로 들어서니 봉정사 영산암이 나타난다.

한국10대 정원중의 하나인  영산암.

봉정사 영산암 배치도. [절집에서 보기드문 "ㅁ"자 건물].

영산암 안내문.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나랏말싸미"를 촬영 하기도 했다.

중단 좌측의 송암당.

중단 우측의 관심당.

차향당. 차마시는 공간.

소나무 배롱나무, 나한전.

우화루 아래를 통하여 영산암으로 출입한다.

영산암 오르는 계단.

노거수

제비원[이천동 마애불 입상]

봉정사 버스 시간표.

봉정사 화엄강당 

스님들의 교학을 배우는 화엄강당은 보물 제448호.

무량해회.

2018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위원회 봉정사 를 비롯, 산사 7곳이 세계유산으로 등재 되었다. 국보 제311호 봉정사 대웅전.

봉정사 대웅전 안내문.

국보 제15호 "극락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극락전 현판.

극락전 안내문.

3층석탑과 고금당.

영국여왕 방문 안내판,고금당 안내문.

봉정사 영국여왕 방문 안내판 

엘리자베스여왕이 극락전을 둘러보고,이곳에 돌탑을 쌓으며 축원을 했던 장소이다 . 그리고 "조용한 산사 봉정사 에서 한국의 봄을 맞다"고 방명록을 적었다고 하네요.

엘리자베스여왕이 극락전을 둘러보고,이곳에 돌탑을 쌓으며 축원을 했던 장소이다

극락전 내부의 주불인 아미타불 부처님.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보다 , 더 오랜 목조건물인 극락전은 그 가치가 높다.

안동시 미질동에서 발견 안정사에 보관중,안동댐 건설로 1973년 현 위치에 자리매김 하고 있는  석조여래좌상.

안정사 석조여래좌상 안내문 

제작시기는 9세기 경으로 추정. 뒷편엔 하트모양의 소망담은 손편지?

삼층석탑.

범종각.

만세루 지붕  중간 청기와에다  여왕님의 방문기념 사인을 남기셨다고 하던데..원본은 안동하회마을 전시관에 보관중... 

만세루에는 목어 법고 운판 걸려있다.

만세루 현판.  목조건물내 특이하게 단청이 없다.

천등산 봉정사, 나무아미타불 현판.

만세루는 2층 형태의 누각으로 1680년 건립

수령 200년된 보호수인 소나무.

봉정사는 672년 능인대사가 창건한 신라고찰이다.

봉정사 배치도.

봉정사 안내도.

능인대사가 도력으로 종이로 만든 봉황을 날렸는데, 종이 봉황이 앉은곳에 절을 짓고 봉황이 앉은 자리라 해서 봉정사라  하였다는 전설이 전한다.

문화재를 감상하고 봉정사 입구로 내려간다.

봉정사 일주문.

한국의 산지승원 안내문.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봉정사.

봉정사 표지석.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