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칠곡보-지주증류비-장택상 생가-야은길재묘소

자전거라이딩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7. 20. 17:48

본문

구미 오태동의 "지주중류비"각.

수세미꽃.

들판의 곡식은 익어가고...

왜관 나루터.

제2왜관교.

호국의 다리.

중간의 난간대 없는 부분이 6.25전쟁때, 북한군 남침을 저지시키기 위해 폭파시켰다.

도로공사로 인해 호국의 다리를 건너 우회 한다.

칠곡보.

개방된 보 위로 물이 넘쳐 흐른다.

왜관교와 철도 교량.

작오산 전망대.

호국경.

호국경 칠곡보 좌안.

칠곡보를 뒤로하고 구미로 이동한다.

관호산성의 전망대와 우측의 오토 캠핑장.

칠곡 호국 평화 기념관.

강물속의 고사목?.

고속전철은 달리고 있다.

영암산-신석산-비룡산-시묘산 능선.

덕포대교.

누어있는 얼굴모습의 금오산.

왜관 낙동강교.

임오교와 노란 공단교. 중앙에 야은 선생묘소가 조망된다.

수상스키.

남구미대교.

남구미대교를 건넌다.

상모동, 박정희 대통령 생가 방향으로 이동.

오태교를 지나 오태1동으로 이동.

지주중류비 가는 표시판.

지주중류비각.

지주중류비 안내문.

지주중류비 설명문.

비각내 지주중류비.

고려말의 충신이며,삼은의 한 사람인 야은 길재 선생의 높은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비.

전면의 지주중류 비문.

비석정면에 중국의 양청천이 글씨임을 알려주는 이름이 새겨져 있다.

지주중류란, 중국 황하 중류의 석산이 마치 돌기둥 처럼 생겨서,혼탁한 물 가운데 있으면서도,흔들리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 왕조에 절의를 지킨 길재를 은유 한것이다.

"지주중류석"  중국 하남성 성주에서 동쪽으로 40리 떨어진 황하의 중류에 있는 기둥 모양의 돌을 말한다[폄].

경북 영양군 입암면 흥구리 마을 앞 반변천 중앙에 있는 "지주 중류석" [폄].

뒤면에는 서애 유성룡이 지주중류의 뜻과 ,후학들에게 주는 교훈의 글이 새겨져 있다.

비의 갓이 없는것은 천연의 바위인 지주를 뜻함이다.

지주 비문 상단부.

중류 비문 하단부. "지주중류"와 비슷한 글이 "백세청풍" 이라는 글귀가 있다.

지주 중류비를 떠나며...

가을 햇살 아래의 석류.

오태1동 버스 정류소.

장택상 생가.

악덕 친일 부호로 광복회원에게 처단된 장승원의 생가, 아들인 국무총리 장택상의 호를 따서 "창량고택"이라 불리나 주인이 바뀌어서 원형을 거의 잃었다.

왕산의 형 허겸[애국장]이 군자금을 요구하였으나  밀고, 대한 광복회 총사령관 박상진[독립장]거듭 군자금을 요구하였으나 일제에 밀고, 1917년 11월 광복회원 채기중과 강필순에게 장승원은 처단 되었다. 

금오재 식당이었으나,다시 주인이 바뀌어 일반 가정집으로 변모되었다.

야은 길재 선생 묘소 이정표.

길재선생 묘소를 관리하는 청풍제.

야은 선생님의 묘소로 오른다.

야은 길재 선생 묘소.

용머리산 끝자락에 묘소는 자리잡고, 고려문하주서 야은 길선생지묘 15대손 1982 임술4월.

부인신씨의 묘소는 금산에 있다고 한다.

묘소앞의 망주석 장명등 좌우 문,무인석 석양.

묘의 배면.

다시담은 묘소와 묘비명.

두 개의 비석이 일부 묻혀있는데, 숭정후908 기미 3월일 개림. 숭정기원90일

숭정기원 90일

멀리 천생산이 조망된다.

노루오줌.

오태동 마을 전경.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