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원 성산리 제1고분군.
2011년 대구의 아름다운 거리로 선정된 호산동 메타세궤이아 숲길
나무가 길게 일찍선으로 숲길 조성.
금호강 위의 대구외과순환도로 교량이 마무리 공사 중.
디아크 문화관.[물 박물관]
대구 둘레길, 강창대곡길이정표.
마무리 공사중인 대구외곽순환도로 교량의 곡선미.
낙동강 금호강이 합류하는 달성습지.
60만 5천평의 보기드문 법람형 하천습지로, 사계절의 다양한 식생을 볼수있는 자연생태의 보고이다.
달성습지 안내문.
물억새 군락지.
달성습지보호구역 표지석.
대구 둘레길로 라이딩을 즐기고 있다.
대명유수지.
맹꽁이 체험장 종합안내도.
우리나라 최대 맹꽁이 서식처인 대명 유수지.
유수지 중앙에 생태 탐방로 테크를 설치. 주위는 갈대밭으로 덮혀있다.
맹꽁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2급으로 보호되고 있다.
맹꽁이여 놀자.
생태탐방로. 생태체험 학습공간으로 활용 되기도 한다.
참고로 개방시간 안내도.
대구 둘레길.
하트형 포토존.
팔각정.
탐방객들을 줌으로 댕긴다.
테크아래 관찰 학습장과 깊은습지.
학습장테크주위의 사진들.
맹꽁이의 성장과정.
물억새.
두꺼비.
버들붕어.
천연 기념물 제 453호 양서 파충류 남생이.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포유류 삵.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파충류 구렁이.
대명 유수지 전경.
화원동산 전망대와 달성습지 생태 학습관 가는길.
진천천이 흐르는 구라2교와 반원형 교량.
갈대.
물억새.
이정표 갈림길.
진천천아래서 낚시를 즐기는 강태공.
반원형 교량.
낙동강 생태탐방로 가는 이정표.
자전거 도로로 이동한다.
사문진 주막촌 가는길
구라3리 마을 표지석.
골안.
도로에서 산불조심 현수막 등산로로 이동.
묘지비석군.
낙옆싸인 등산로.
주위잔디를 정리한 고분군이 나타난다.
성산리 제1고분군 안내문.
지름30m, 높이 7m 이상의 대형분을 비롯, 다양한 크기의 대 소형고분 100여기가 자리잡고 있다.
예전에 잡목 잡풀 로 뒤덮혀 분간을 못했는데, 지금은 고분 주위 말끔히 정리된 상태이다.
신라초기의 고분군으로 알려진 화원성산리 고분들.
고분위 삼각점.
화원토성이 있는 성산의 정상부에서, 아래잔뫼마을과, 윗잔뫼 마을로뻗어내린 완만한 능선의 정상부와 구릉의 사면에 조성되어 있다.
고분의 상당수는 일제시대 이후,도굴로 피해를 입은 상태이다.
고분군 정상주위에 파인 부분이 도굴된 모습.
1999년 도로확장공사에 수반하여 발굴조사된 구릉 최말단부의 봉토기1기[성산리 1호분] 의
규모와 부장품을 통해 볼때 이 무덤의 주인들은 5-6세기 화원일대를 거점으로 하였던 정치체로 추정된다
고분군
소나무와 함께 잘 정비된 고분군 일대.
고분군주위에는 일반적인 묘소도 함께 있다.
건너편 큰 고분위에 한 쌍의 개가 짓고있다.
발굴된 유물은 경북대 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다.
도굴흔적.
유인고령김씨효열비.
건너편의 큰 고분군1기. 그당시 세력자의 무덤?
멍멍이가 짓다가 자리를 옮긴다. 크게 파헤쳐진 도굴 흔적.
화원 성산리1호분 고분군 전경.
화원동산 가는 길은,자전거 오토바이 출입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