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구시경계2구간[대왕재-돌고개]1.

대구시 경계산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7. 12. 16:33

본문

도덕산 마루석

산행지도.

단체사진.

야간 마치고 장마비가 우려되는 가운데 ,노심초사 비가오지않아 배낭을 챙기고 대왕재 도착.

대왕재,  덕산 요양원으로 이동한다.

달구벌고등학교가 보이고, 식당사이의 도로로 이동.

밤송이.

선답자 표지기.

응봉과 응해산.

연화사.

연화사 입구 도로의 지장보살상.

비비추.

연못.

포대화상.

소화낭자의 애닮은 슬픈 전설을 간직한  능소화.

덕산요양원.

멍멍이가 낮서른 이방인에게 한 참 짖는다.

산행 들머리 표지기.

으아리 꽃.

대구은행 연수원에서 오는 길과 합류, 등로는 한 길로 구성되어 오른다.

경고 안내판..

축대를 나무로 지지 하였다.

무덤앞 두 갈래 등로에서 좌측으로 이동.

두 번째 경고 안내판이 숲속에 방치.

쓰러진 소나무 밑으로 통과.

산 칭구들 표지기.

J3 클럽 표지기.

8부 능선 두 갈래길에서, 표지기가 있는 좌측으로 다시 이동한다.

좌측의 가파른 등로를 따라, 이동 중 응해산에서 올라오는 주 능선 등로가 나타난다.

3번째 경고 안내판이 주 능선 등로 옆에 있다.

원형모양의 대구은행 연수원.

도덕암 갈림길 쉼터.

갑자기 안개로 시야가  흐려지고 도덕산 정상 헬기장.

도덕산 마루석.

도덕산 삼각점.

선답자들의 표지기.

장마영향으로 인해  팔공산은 흐려 보인다.

다시 도덕암 쉼터로 내려온다.

도덕암 방향으로 내려간다.

무덤 2기를 지나 쉼터 밑에 이정표가 있다.

도덕암 방향.

일단 도덕암 으로 향한다.

산악 자전거, 산악 오토바이 출입자제 현수막.

너덜지대.

도덕암.

극락보전 앞의 하얀색 연등.  주로 오색연등을 걸어 놓는데...

몽계당 선의대사 진영 안내문.

몽계당 선의대사 진영.

선의대사 진영.

극락보전 내부  아미타 삼존불.

좌측의 관음삼존상도 모서져 있다.

범종각.

자응전.

자응전 내부 독성과 칠성.

위태천신이 모서져 있다.

나한전내 제상 안내문.

나한전.

나한전 석가모니불은 결가부좌, 좌,우 협시불은 의자에 앉은 모습.

1632년에 조성 추정되는 나한전 내 제상들은 놀라울 만큼 깨끗하고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16나한과 2구의 시자상.

동명지와 명봉산 일대가 조망된다.

 국화 옆에서...

자응전,산신각,나한전.

모과나무에는 모과가  달려있고, 수령이 무려 800년이되어 보호수로 지정.

800년된 모과나무 줄기.

보호수 안내문.

고려국 광종황제 어정약수.

고려 광종의 속병을 낳게 하였다는 "어정수" 

어정수 바닥에는 맥반석이 깔려있다.

차곡차곡 석축 쌓은듯한 담장 위의 장독대.

극락보전 앞의 하얀 연등.

노거수.

도덕암 관람을 마치고 다시 이정표로 되돌아간다.

은꿩의 다리.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