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월 장릉 가는 길3.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2. 28. 10:51

본문

장릉.

장릉가는 테크.

소나무 숲길 시멘도로 따라 오른다.

장릉 안내문.

일부 관광객들이 장릉을 참배 하고 있다.

좌우의 마석, 문인석, 불을 밝히는 장명등석, 재단인 혼유석, 좌우 망주석,봉분주위의 양석.

장릉에는 병풍석과 난간석을 세우지 않고, 석물도 왜소하고 능의 양식도 간단하다.

숙종24년 [1698년] 노산묘를 장릉으로 추봉하고,  사각지붕형인 장명등은 장릉에서 첫선을 보이게 된다.

 영조9년[1733년] 왕명으로 정자각, 비각, 그리고 수복실이 함께 건립.

장릉 밑 고즈넉한 산 아래 평지에 자리잡은  정자각. 

단종이 잠든 장릉을 뒤로하고 산책로를 내려간다.

남양주문화원에서 1999년 4월 9일, 단종의 부인인 정순왕후 송씨의 사능에서 옮겨다 심은 정령송이다. 이 정령송은 단종과 정순왕후 송씨의애절하고, 슬픈 사연으로 인해 두 영혼을합치자는 뜻으로 옮겨와 심은 소나무 이다.

홍살문이 보이는 정자각으로 이동.

장릉의 유래 안내비.

단종을 위하여 목숨바바친 위패를 모신 장판옥.

장판옥 안내문.

넓은 판자에 모신 충신위 32인 위패.

환자군노 44인, 여인위 6인 위패.

조사위 186인 위패[관리와 선비]  총, 268인의 위패를 모셨다.

목숨을 바친 충신위, 조사위, 환자군노위, 여인위의 영령을 추모하는 제단인 배식단.신분의 차이에 따라, 배식단의 높이가 각기 다르다.

배식단 안내문.

단종제향과 함께 제사를 지낸다.

홍살문. 방문객들에게 경건한 마음가짐과, 옷매무새를 단정하게 하라고 세워놓은 문이다

우측에 네모박석이 있는데, 이곳에서  능침을 향하여 절을 4번 올리면서,저는 누구누구 입니다...하고 고하는 장소인 "배위" 공간이다.

홍살문에서 정자각사이의 공간에 대하여, 성세[신의 세계]와 속세[인간 세계]가 공존하는 제향 공간이다. 박석이 깔린 길이며 신도와 왕로를 합쳐서 '향어로'라고 부른다.

제향을 지낼때 사용하는 우물인 영천

영천 안내문.

우물 상부는 정방형돌담.

우물 하부는  화강석돌담으로 둥글게 조성.

느릅나무,  2003년 11월 15일 수령 390년 보호수 지정. 

수라를 짓는 주방인 수라간.

수라간 안내문.

단종대왕 제향시 제물을 올리는 정자각.

 장릉을 향하여 제향을 지내며, 단종의 혼령은  정자각에서 능으로 바로 오르지 않고,곧장 하늘로 날아올라 아래를 굽어보는 형상 처럼 보인다.

정자각 안내문.

정자각 전경.

정자각 우측에 축문을 태워 묻는 구덩이인 '예감'

탐방객이 열심히 보고있다.

단종비각.

조선국 단종대왕 장릉

비의 뒷면에는 단종의 생애가 기록 되어 있다. 비문의 붉은글은 영월장릉이 유일하다.이는 혼을 위로하고 잡귀와 해충이 다가서지 못하게 하는데 뜻이 있다.

단종비각 안내문.

능지기가 기거 하던 곳인 수복실.

수복실 안내문.

길게 조성된 수로.

정자각 전경.

장릉을 향하여 세워진 정자각.

소나무 숲 산책로.

연못.

박충원 낙촌비각.

박충원의 충심 됨을 후세에 널리 알리기 위하여 1973년에 건립. 암매장된 단종의 묘를 찾아 수축하고,제사를 지냈다 한다.

낙촌비각 안내문.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장릉에 있는 조선 전기 영월군수 박충원을 기리는 비입니다.  박충원(朴忠元)[1507~1581]은 본관이 밀양이고 자는 중초(仲初), 호는 낙촌(駱村)이다. 1531년(중종 26) 식년시에 올라 홍문관, 승정원 등을 역임하고 1541년(중종 36) 9월 영월군수로 부임하였다. 당시 영월에 3명의 군수가 연이어 죽자 민심이 흉흉하여 모두 부임하기를 꺼렸다. 박충원은 단종의 능을 찾아가 봉축하고 전물을 갖추고 제문을 지어 치제하자 고을이 조용해졌다. 박충원은 훗날 이조판서 중추부지사를 역임하고 밀원군(密原君)에 봉해졌고 사후에 문경공이란 시호를 받았다. 문집으로 『낙촌집』이 있다. [폄]

문경공 낙촌 밀양 박충원선생 기적비.

관람을 마치고 장릉을 나온다.

장돌뱅이 '담대하길' [영월 지구대-장릉구간]

언덕 위 정자.

장릉마을 버스 정류장.

423년 보호수인 갈참나무.

도깨비 마을 소광장 안내도. 

소광장의 도깨비 조형물.

장릉에서 택시를 타고 그믐달 모형의 영월역 도착.  반대는 초승달  이지요.

고풍스러운 영월 한옥 역사.

영월역 이야기.

삿갓 아저씨도 있네요.

영월역 포토존 안내문.

영월역을  포토로 남긴다.

대기실 내의 지붕없는 박물관 고을에 오신걸 환영 합니다.

예미역 으로 사북, 고한, 추전, 태백역 으로 이동.

철로변에서의 영월역사.

정선 아리랑 으로 운행.

역사근처 산정상 에 천문대.

별마로 천문대. 

명소 안내1.

명소안내 2.

열차 승차권. 

동해-제천 무궁화 열차.

우리나라 에서 가장 높은 추전역을 지나간다.

태백역.

태백역 도착.

태백역 광장.

태백역.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