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월 장릉 가는 길2.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2. 28. 10:28

본문

반차도.[조선시대 국가 의례에 참여하는 문무백관 및 각종 기물 등의 정해진 위치와 행사 장면을 묘사한 기록화]

정순왕후의 생애,   판돈녕부사 송현수의 딸로 본관은 여산이다. 15세인 1454년 왕비책봉,1455년 단종이 상왕시 의덕왕대비 1457년 단종승하시 부인으로 강등,1521년 82세로 승하, 1698년 숙종 24년 단종복위시 정순왕후로 추봉.

정순왕후 사능.[정순왕후가 승하하자 단종의 친누나 경혜공주가, 출가한 해주정씨의 묘역에 일반묘 형식으로 조성하였으나  단종복위로 묘는 사릉으로 승격.

왕릉으로 승격된 정순왕후는 남양주 사능에 모서져 있다. 사능도.

사능비와 옛 정업원 터에 세운 정업원구기비.[왕실 여성들의 출가처, 기도처]

단종복위와 장릉.

복위부묘도감의궤 반차도.

조선왕릉의 세계유산 등재.

조선왕릉.

조선왕릉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

단종문화재

단종과 관련된 책과 음악들.

예종이 왕릉내부를 회격으로 조성하라.

곤룡포에 익선관을 쓰고 백마를 탄 단종에게, 산머루를 바치는 충신 추익한의 모습.

운보 김기창 작.

관풍헌.

신연. 어진의 이안이나 봉안에 사용했던 가마. 2021년 제54회 단종문화재 기간 중 단종어진 봉안 때 사용 하였다.

반차도1.

반차도2.

왕세자의 일과, 교육, 놀이.

사규삼과 대창의, 세자 용포.

영월의 놀이 문화.

정순왕후 선발대회.

단종실록.

단종 유배길 재현.

단종의 능에 대한 장릉사보.

호랑이를 타고 단종을 뵌 조려, 태백산 산신령이 된 단종 이야기.

단종의 유뱃길에 스민 이야기.

창덕궁 대조전과 화양정.

원주 어음정.

영월부로 진입하며, 1구간 통곡의길[솔치재], 2구간 충절의 길[군등치], 3구간 인륜의 길[청령포]  유배길은 3구간으로 나뉘어진다.

유뱃길 이야기.

충의공 엄흥도.

단종의 시신을 거두어 준다.

단종국장 재현.

특별 전시실.

단종 태실지.

세종대왕 단종대왕 태실 수개의 궤, 태실.

영조6년 세종,단종대왕 태실 개수내용 의궤

태실 사후토제와 후토제에 필요한 지역별 인력과 물자배정.

헌관이 제사를 올리는 순서 홀기, 제를 올릴때 사용한 축문과 헌관 명단.

사토제에 필요한 품과물자를 배정함, 태실공사 감독관이 현지로 출발.

반차도1.

반차도2.

반차도 안내문.

단종어진, 현존하는 어진과 역대 왕들의 어진제작 안내문.

단종 어진.

단종 어진, [휘 이홍위]

재실.

재실 안내문.

건립연대는 숙종 25년[1699년]이고,1932년 중건.

단종제향을 지낼 때 이 곳에서 재물을 준비 하였다.

제기를 비롯 각종 사용기구를 보관 하였다.

능참봉 1인과  수호군 9인이 기거 하였다.

청사초롱의 행렬.

재실.

엄흥도 정려각.

단종의 시신을 수습하여,동을지산에 매장한 영월 호장 엄흥도의 정려비는 영조 때 엄흥도의 충절을 후세에 알리기 위해 세웠다.

엄흥도 정여각 안내문.

정려각.

조선충신 영월군 호장...엄흥도 정려각 비석.

붉은 글씨체 정려.

17세손 후손의 편액이 한켠에 걸려 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