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성주 한개마을-영취산-감응사(2)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7. 30. 09:49

본문

북비.(북쪽으로 난 여닫이 외문짝)

돈재 이석문 공의 신도비.

돈제 이공 신도비 안내문.

1909년 10월에 세워진 비  고종 광무4년 1899년에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정 될때, 조정에서 이석문의 충절을 기려 세운 신도비 이다.

거유 곽종석이 비문을 짓고,이조판서 해사 김성근이 썼다.

비문을 받치는 귀부.

응와종택의 솟을대문.

응와종택 안내문.

ㄱ 자형 팔작지붕의 북비고택인 사랑채.

북비고택의 사랑채.

안채.

정원 으로 꾸민 자혜당.

북비고택은 돈재의 증손인 응와 이원조가 지었다.이 집이 응와고택이라 고 불리는 까닭이다.

북비란 북쪽으로 난 여닫이 외문짝 이라는 뜻이다.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의 호위무관 이었던,이석문이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을 위험이 있자,세손을 업고 영조에게 이는 잘못된 것이라 간 하다가 곤장을 맞고 관직을 파직당하여 낙향 하였다.

지금의 터에 집을 세우고 사도세자를 그리워하며, 북쪽으로 사립문을 내고 이곳에서 은거 하였다 한다.

북비문을 들어서면 앞면 4칸의 북비채.

대산동 월곡댁 입구.

대산동 월곡댁 안내문

월곡댁 사랑채.

토담 담장.

즐거움채우길.

즐거움채우길 가는길.

한복입은 선남선녀.

그 모습이 하도 보기좋아 한장 남기려하니  쾌희 승낙하여  한 컷

첨경재[경상북도 문화재]

첨경재 안내문.

성산이씨 후손들이 제사를 지낼때 사용한 첨경재.

샘터.내가 보기엔 예전에 여성분들의 여름철 목욕간이 아닐까...

자연석을 이용한 돌담.

마을회관.

민속마을 헌장.

마을 우물이 아닐까

빨래터 공간?

한개마을의 유래.

한복대여.

토담길.

볏짚으로 만든 지붕 및 담장인 이엉 용마름.

성주 한개마을 안내문.

영취산 아래의 한개마을.

정헌공 응와이 선생 신도비.

응와이 선생 신도비 안내문.

비문은 형조판서 허전이 짓고,글씨는 공조판서 조종필이 썼다.

귀부위에 비문이 견고히 받쳐져 있다.

응와 이원조 선생의 생애와 업적 인품등을 서술한 신도비.

마을입구의 수령 400년 왕버들.

왕버들나무 줄기.

보호수로 지정.

낙조.

낙동강의 철새들.

가야산의 해질녁.

야경의 강정고령보.

야경의 강정고령보.

고령군 다사면 자전거도로 야경.

사문진교 야경.

디아크 야경1.

디아크 야경2.

디아크 야경3.

디아크 야경4.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