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구 시경계 제6구간 9km 추가구간[근린공원축구장-내리마을-목단1리마을회관].

대구시 경계산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7. 14. 10:22

본문

낙동강 자전거길.

산행지도.

지하철 1호선 설화명곡역 하차,  600번 버스를 타고,구지방면으로 이동.

구지 국가산업단지내 근린공원 축구장 건너 버스정류장 하차.

산단 교차로에서 내리마을으로 이동.

대구환경공단 달성사업소.

저수지.

내리마을,  저번에 소주한잔에 짬뽕먹은 춘향원

본격적인 시경계 구간이 시작된다.

이노정 안내문.

이노정 전경.[대구 광역시 문화재자료 제 30호]

이노정  제일강산 편액. 우측의 "소학..."  주련은 김굉필선생이 어릴때 소학공자라 하였는데...

이노정에서 바라본 낙동강.

구절초.

낙동강 자전거 길로 들어선다.

오전에 비가내렸지만 잠시 후 그쳐, 배낭챙겨 부랴부랴 남은구간 9 km 를 마치려고 이동중이다.

대암배수문.

가을의 전령사 억새.

낙동강 자전거길 테크로드.

대봉감.

테크는 언덕구간으로 이어지고...

교회방향으로 내려간다.

대암보건진료소.

대암1리마을 표지석.

무심사, 예전에  TV 문학관 바라암 촬영지 장소 이기도 하다.

낙동강 무심사 가는길.

고령 우곡교.

고령군 우곡면에는 "우곡수박"이 유명 하지요.

매년 11월달이면,합천 덕곡면 밤마리 오광대 탈춤축제가 열린다.

밤마리 오광대 탈춤은 다섯방위[동방,서방,남방,북방,중앙]를 나타내는 탈들이 나타나 마을에 사악한 것을 쫓아내며, 굿거리 장단에 맞춰 춤추며 화합과 안녕을 비는 탈춤이다.

대암2리마을 버스 정류장.

국도와 자전거길은 분리되며 자전거길로 이동.

저 멀리 산자락 무심사 에서, 염불소리가 계속 들리고 있다.

창령군 과 합천군을 연결하는 율지교가 희미하게 보인다, 다리를 지나면 바로 덕곡면 밤마리오 오광대 탈춤마을이다.

아니 벌써!

대암2리마을.

자전거길은 무심사 방향으로 향하고, 좌측 으로 내려간다.

무심사가는 표지석.

마을도로 앞 쉼터공간.

경상남도 표지판.

충효의 고장 달성군

대구광역시 표지판.

보은사.

대암2리 도원사 셋골이다.

도원사.

관세음보살상.

부상화[하와이 무궁화]

장독대.

마을 안길로 들어간다.

끝집에서  좌측방면의  산으로 오른다.

대나무 숲.

작은 감 홍시.

반가운 표지기가 눈에 뛴다.

정리된 나무숲을 지난다.

다시 이슬비가 조금씩 내린다. 우곡교가 조망된다.

다른 선답자들의 표지기는 보이지 않는다

좌측사면은  숲이 우거지고, 우측사면으로 가니 표지기가 나타난다.

잠시후 묘소 위 표지기에서 밑의 좌측방면으로 가야하는데, 직진으로 이동. 아닌것 같아 다시 묘소에서 좌측등로로 이동, 표지기도 없고해서 다시묘소에서 직진이동 내려오니 방향이 정 반대방향임

 

우곡교가 보이는 묘소.

산행의 흔적도 표지기도  없고월봉산 방향이 많이 헤갈림.

우여곡절 끝에 내려옴.

새월 목단2리 마을 표지석.

공사구간을 넘어서 한참 후 목단1리 마을 회관 도착. 산행 끝이다.

구지공단으로 이동.

영화 판넬 버스 정류장 도착 무탈산행에 감사 드린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