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팔공산 둘레길8구간[윗산당 마을-제2석굴암]

팔공산 둘레 길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7. 8. 22:49

본문

제2석굴암 (아미타여래 삼존석굴)

팔공산둘레길 8구간.

윗산당 마을을 벗어나 8구간으로 이동시작  좌측으로 갑니다.

칠곡군에서 둘레길 안내도와 이정표 미설치로 대충 국도 따라간다.

농어촌 인성학교.

산성마을 전원 휴양 센터.

가산-삼칭이 능선.

치키봉-가산 능선.

가산1리 마을 표지석.

팔각정자와 돌탑.

가산1리[북창마을]버스 정류소.

흑염소 사육장

가산로.

구화사 표지석.

희미하게 팔공산 정상부가 조망된다.

가산 호박공인 중개사.

성우 나눔터.

    음지마을[응추리] 버스 정류소.  이 지점에서 국도를 벗어나서 지경골-쉰재-남산1리 마을방면으로 가야 하는데 안내도 이정표가 없어 무척 아쉽다.

이 방면으로 국도를 벗어나, 산길및 과수원을 가로 지르며  이동 해야하는데, 나홀로 이동이라 ...[폄]

칠곡군을 벗어나면, "쉰재" 가 있는 군위군 경계로 접어들면 팔공산 둘레길 안내도가 나온다.

군위군애서 설치한  팔공산 둘레길 안내도.[폄]  칠곡군은 잠만 자는지...

그냥 무대포로,용수리 마을 버스 정류소 도착.

삼거리. 가산로 국도 에서 용매로 국도  [용수마을 보건 진료소와 마을]로 접어들고 우측으로 이동.

개천이 흐르고있다.

따스한 날씨속에 양봉의 활동이 시작되는가 보다.

 칠곡군, 군위군 경계지점.

팔공사 입구. 부계면

갯버들도 곧 꽃망울을 터 뜨리고 나올것 같다.

넓은 공터지. 땅 고르기가 한창인데 전원주택지 인지

분양 사무실겸 공사 사무실인지?

내리막길 도로 구간.

남산1리 [각골마을] 가는 길.

제2석굴암이 있는 산과 남산리 마을.

파스텔화 모텔.

군위군의 팔공산 둘레길 이정표.

각골마을 가는 방향.

좌측으로 내려가는 길목아래 "척서정'이 보인다.

양산서원과 노거수.

수령 400년된 왕버들 3본이 보호수로 지정.

부림홍씨 경재 홍노,문광공 허백, 홍귀달,우암 홍언청선생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해 영위를 봉안 하였다.

양산서원 안내문.

1786년 정조 10년에 설립된 지방교육기관이며,성현을 존숭 하는 곳 이기도 하다.

읍청루.

1868년 고종5년 대원군의 서원 철패령으로,전 건물이 훼손된 비운이 있지만 1897년 강당을 중건한 후,1989년에 중수 하였다.

해탈교앞의 팔공산 문화 전통 교육원.

소나무 숲 평화로움을 느낀다.

팔공산 석굴암 중창 공덕 사적비.

경주 석굴암보다 1세기 정도 앞선 석굴 안내문.

 군위 삼존석굴 석조비로자나불 좌상 안내문.

삼존석굴 석조비로자나불 좌상.

결가부좌를 하고 광배는 없고, 대좌는 일부 파손된 상태로 모서져 있다.

비로전.

군위 삼존석굴 모전석탑 안내문.

삼존석굴 모전 석탑.[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석탑]

참배단에서 담은 제 2석굴암 전경.

귀중한 문화 유산이기에 훼손방지를 위해 출입금지 안내문.

아미타여래 삼존불.

군위 아미타여래 삼존석굴 안내문.

고려시대 큰 도인이신 나옹선사의 시

삼존석굴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국보로 지정 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석불교 석난간 계단이 추가로 설치 되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천년동굴을 이용. 입구와 내부벽면을 확장 가공한 뒤 그 안에 삼존불을 안치.

국뵤 제109호 지정.  관세음보살,아미타불,대세지보살.

극락교.

한국불교 태고정에 속한 제2석굴암.

안내문과 가람 배치도.

팔공산 석굴암 표지석.

식당가 는 조용 합니다.

안내판.

남산1리[서원]버스 정류장.  10분 늦어 오후 5시 대구행 버스는 출발, 6시 군위행 버스 타고 감.

효령에서 대구가는 버스가 1시간 20분뒤에 있어 바로 군위 터미널 도착.

19시 10분발 동대구행 버스 타고 무사히 집으로 이동.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