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가야고령-왕정-고아동 벽화고분-상무사 기념관-김면장군유적으로의 라이딩(2)

자전거라이딩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5. 13. 07:29

본문

     송암 김면장군 유적 도암서원 전경.

       고령군 지산동 고분군과 주산이 조망된다.

      고령군 생활체육공원.

         대가야 모듬내 보도교[목책교]

  고령군의 3대문화권 사업의 하나로 새로 건립된 아치형과 현수교인 보도교.

        고령군의 진입 교량다리인 회천교와 보.

         바닥에 투명유리를 설치 하였다.

     회천을 따라 자전거도로가 길게 이어져 있다.

    2개의 아치형과 현수교모양의 목책교.

   대가야 고령.

     고령초등학교.

       고령초등학교 운동장내의 왕정 우물.

      대가야시대 왕들이 먹었다고 전해오고 있는 곳으로 "어정" 이라고도 불린다.

         안내문.

      용정우물.깊이는 50cm지만  가뭄에도 마르지 않아 주민들이 식수로도 이용했다고 함.

        우리가 보호 해야 할 문화유적 [용정]

      고령 지산리 당간지주.보물제54호

       정악 가야금과 산조 가야금.

       하얀 목련.

      옹기.

    호고원. 일본식 정원 연못이 있고 고택이 있다.

           나무로 만든 남녀상

 고아동 벽화고분 입구의 대가야 조선소 지[터]

        벽화고분.사적지 제165호

   솔내음 숲길 안내도.

    고분으로 올라가는 돌계단 입구.

  고아동 벽화고분 안내문.

  고아동 벽화고분 안내문.

     벽화고분 현실내부.

     벽화내부.

     고아동 벽화고분군.

          문화재보호차 철문은 잠그져 있다.

          고령상무사기념관.

     조선시대 부보상단의 업적을 기리기위해 건립. 고령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해온 상인단체를 가리킨다.

          상무사 기념관.

        보부상은 보상과 부상으로 나뉘어지는데,보상은 세공품이나 사치품을 취급. 부상은 일용품위주로 돌아다니면서 팔았다.

     고령지역 경제적 발전을 위해 공이 있는 분들의 비석이 세워져 있다.

      청덕 선정비.영세 불망비.

      진달래의 개화.

벚꽃.

산수유.

     김면장군 유적지로 이동한다.

       고령군 쌍림면 고곡리16. 위치한 유적지.

       김면장군 유적 안내문.

      외삼문인 지심문.

    상평루.

       도암서원.

            경묵재.[동재]

      수의재.[서재]

          묵일당[유생들의 공부하는 강학소]

     상평루와 동서재.

      추념재.

    추념재옆에는 후손들이 기거하는것 같다.

     사주문과 위패를 모신 사당.

       배롱나무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

          배롱나무가 웅장하게 펼쳐져 있다.

             도암서당.

        김면장군 유적지 인 도암서원.

   김면장군 묘비석.

    김면장군 묘소. 망주석과 문인석이 세워져 있다. 의병장 김면은 의병을 일으킨뒤 대전 10여합에 30여차례나  적을 물리치고, 여러 달 동안  의갑을 풀지 않았서며 싸움으로 인하여 만석꾼 의 가산을 탕진 처자가 거창부근에서 문전걸식을 하였는데도 찾지않고 국사에만 전념 하였다.

전장의 과로로 병을 얻어 1593년 3월11일 금릉군 하리 병영막사에서 운명을 하였다.

                          지지알국:지금까지 나라 있는 줄은 알았지만, 부지유신:이 한 몸 있는 줄은 몰랐네.           마지막으로남긴 유언시.

 정조 13년[1789년] 신도비를 건립. 그의 높은 충절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있다.

             신도비문은 채제공이 찬하였다.

        목련이 막 필무렵의 서원과 유적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