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비슬산 최고봉 정상석이 대견봉에서 천왕봉으로 바꼈습니다.(1)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4. 9. 10:00

본문

비슬산 정상 주봉인 천왕봉마루석.

 

2014년2월27일 비슬산 최고봉 정상석이 대견봉에서 천왕봉으로 바뀌었다.3월1일 달성군 개칭 100주년이 되는날 비슬산의 새로운 명소인 대견사의 개산대제가 열렸으며

정상석의 제막식을 개최했다.(1월15일자 매일신문에서 지도 발췌했으며 달성군 블로그기자  두가님 싸이트(http://duga.tistory.com/1740) 참조했습니다.

대구마루금산악회 산꾼이신 매일신문사 박종봉 편집위원님 "云門 서 華岳까지"책자에서 발췌한 지도입니다.

비슬산 개념도.

*지난 1997년 지역의 일부유림들과 주민들이 명확한 역사기록등 근거도 없이 이곳 천왕봉에 "대견봉"(大見峰)이라는 표지석을 세우면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현삼조 천왕봉 바로잡기 운동본부장은 "18.19세기에걸쳐 비슬산의 여러봉우리의 명칭을 표시한 고지도가 해동지도.여지도.조선지도.동여도.청구도.

청구욜람등  10여종에 이르며 이들지도 대부분이 비슬산주봉을 천왕봉으로 표기하고 있다"고 했다.비슬산 유가사 호암스님은 "조선시대 제작된 여지도

(1789~1795)에 비슬산의 주봉은 천왕봉이고 그밑에 유가사와 도성암이 표시돼 그려져 있다."며 지도상에는 물론 여러불교사적 자료에서도 유가사가 천왕봉

아래에 자리잡은 사찰로 기록되고 있다"고 한다.... 맨위 고지도와 글내용은 2014.1.15 달성`김성우기자님 swkim@msnet.co.kr 대구매일신문에서 펌했습니다.

* 산행코스 : 알프스산장-토담마을-비슬산(천왕봉)(1083m)-극락봉(=월광봉)-대견봉(1035m)-대견사-칠분지(=조화봉)(1059m봉)-극락이딴봉(=삼각봉)-알프스산장.

토담마을 가는길.

비슬산 등산로 안내도.

비슬산 등산로 안내도.

전광판

 전원주택.

토담마을 식당

마지막 별장을 지납니다.

하늘로 쭉뻣은 나무들.

계곡지대.

갈림길에서 우측 비슬산정상 방향으로 진행.

너덜지대.

표지기를 남긴다.

봄소식을 전하는 갯버들.

비슬지맥 헐티재능선 합류.

돌탑이 있는 비슬산 주능선.

청룡지맥 분기점.

헐티재 방향과 멀리 좌측부터 최정산.통점령.청산.우미산.삼성산이 조망.

비슬산 병품덤.

앞산-비슬산 종주능선.

용문산 뒤로 대구시가지.

약산.노홍지.금계산.대방산.옥연지방향

비슬산 대견봉에서 새로 교체된 천왕봉마루석.

비슬산 주봉 천왕봉마루석.1084m

천왕봉 인증샷.

옛 자료를 근거로 하여 본래의 이름을 되찾은 천왕봉.

비슬산 천왕봉 한번 더 남긴다.

뒷면의 한자식 표기어.

앞면의 한글식 표기어.

 관기봉 능선.

칠분지(=조화봉)과 대견봉(1035m)

현풍벌판.

현풍앞의 도동서원이 있는 대니산.

880m봉 닭지봉 뒤로 청룡산...청룡산 좌측은 앞산정상 우측은 산성산

삼봉재(=마령재)(905m)

등로는 극락봉(=월광봉)을 우회, 바로 직진하여 극락봉으로 오른다.

극락봉(=월광봉)

자그마한 돌에 이름표를 새겨 놓인 상태.

표지기를 남긴다.

월광봉에서 천왕봉을 바라본다.

발아래는 극락골이고 칠분지(=조화봉)에서 가야할 능선 딴봉(=삼각봉)이 조망 된다.

진달래군락지 뒤로 높은 봉우리가 대견봉(1035m).

조화봉 가는 다리와 칼바위.

새로 중창된 비슬산 명소 대견사.

대견사.

기바위.

대견봉 오름길에 바라본 천왕봉.

정자쉼터.

비슬산 대견봉 마루석.

대견봉 정상에서(1035m)

대견사 절 주위의 정상 봉우리인 의 대견봉.

대견봉에서 한장 더 남긴다.

 대견봉 전망대.

비슬산의 유래.

조화봉-관기봉능선. 

관기봉 앞의 금수암

금수암을 당겨본다.(867m)

989.7m암봉과 관기봉(992m)사이 뒤로 화왕산이 조망됩니다.

989.7m암봉과 관기봉(992m)사이 뒤로 구룡산.관룡산.화왕산을 당겨봅니다.

자연휴양림 주차장 뒤로 필봉산 그뒤는 현풍 그뒤로 대니산

와와산성

암괴류, 애추, 토르 바위 암석 안내문.

강우레이다 기지인 조화봉.

비슬산과 좌측아래 도성암.

도성암과 도통바위를 당겨봅니다.

정자쉼터로 내려와 점심을 시식.

천왕봉과 월광봉.

통점령-청산-우미산 -삼성산...청산과 우미산 사이 뒤로 대구시계 대청봉이 우뚝 솟아있다.

청룡산 좌.우로 앞산과 산성산 그뒤로 희미하게 팔공산 주능선이 하늘금을 그립니다.

극락봉(=월광봉)우측 뒤로 최정산.통점령 목장지대.청산과 우측 뒤로 대청봉.

돌계단으로 내려온다.

대견사지 삼층석탑에서 대견사 삼층석탑 으로 정정.

토르형 바위

대견사 마애불 안내문.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