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해파랑길 제22코스[축산-대소산봉수대-이색기념관-괴시리 전통마을-대진항-고래불 해수욕장[병곡]4.

해파랑길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3. 17. 12:21

본문

고래불 해수욕장의 고래 조형물.

금오공과대학교의 해오름 연수원.

잔잔한 파도의 물결.

1박2일 촬영 했는 모양이네요.

파도가 점차로 세게 밀려 오네요

대진 해수욕장.

파도가 세차게 밀려오는 광경.

해변의 백사장은 조용 하기만 하다.

고래불대교

고래불대교를 건넌다.

상대산.

상대산 정상의 관어대가 살짝 조망된다.

송천과 동해의 만남.

갈매기떼의 휴식.

고래불로에서 철계단으로 내려간다.

덕천해수욕장의 갈매기 포토존.

당신에게 꽃을 받칩니다. 사랑의 포토존.

덕천 해수욕장 표지석.

가족들과 해수욕장의 나들이.

해변의 피서객들.

파도의 노래.

밀려오고 들어가기를 반복하면서...

해안선 끝자락이 후포항이다.

소나무 숲이 길게 펼쳐져 있는 고래불 해수욕장.

방조림이 길게 펼쳐져 있어 월장 하기로 한다.

해안의 방조림을 넘어 전망대로 이동.

상징조형 전망대.

지하폭포

바닥착시그림 이용 안내.

덕천 해수욕장내의  고래불 야영장.

고래불 하계휴양소.

헬리곱터.

고래불 봉송정.

봉송정 안내문.

봉송정과 관어대를 연계하여, 해안경치가 빼어난 솔밭에 봉송정 건립.

해송의 솔밭.

고래불로.

봉송정 전경.

통합 기준점.

해안의 갈대숲 전경.

갈대 숲 사이로 천이 흐른다.

이곡천과 바다의 만남이 무산 되었네요.

고래불1교.

경북 교육청 해양 수련원.

걍상북도 수산자연 연구원.

청소년 야영장 1.6km.

도로가 지루해 군부대 아래 솔숲으로 내려온다.

솔밭을 이동. 이동중 군부대 훈련용 시설물을 만나기도 한다.

해변 백사장으로 빠져나오고, 지나온 모래의 발자국.

고래불 해수욕장으로 이동.

고래불 07지점 표시판.

해수욕을 즐기는 피서객들.

영리지구 해수욕장.

멀리 고래불 등대가 조망된다.

영리지구 솔밭 야영장.

솔밭 야영장 테크를 지나고...

병곡지구와 영리지구 갈림 해수욕장 이정표.

꽃밭.

고래불 2교.

솔밭이 있는 테크로 내려간다.

해변가의 테크.

솔밭안의 고래 조형물.

고래불광장.

문화생태탐방로 안내도.

고래불 해안 안내문.

고래불 분수대.

고래 조형물.

고래 조형물 앞에서의 인증샷.

오늘도 무사함에 감사드리며 

꼬리부분에서의 고래조형물.

해변공원의 포토죤.

길게 장사진  피서객 텐트촌.

고래를 위하여.

고래 전망대.

고래불 해수욕장.

고래불 등대.

해변 길이가 8km 에 이르는 긴 백사장 덕분에, 대진 해수욕장과 동해의 명사 20리로 불리며 길고 긴 백사장. 얕은 수심. 에메랄드빛 바닷물. 울창한 송림.

고래불항.

배모양의 화장실.

고래불 어시장으로 민생고를 해결 하려간다.

물회와 소주 한잔으로 하루의 피료를 풀어본다

병곡의 노래 시비.

병곡 파출소.

병곡 면사무소.

병곡 교차로 굴다리를 지난다.

병곡 시외버스 정류장. 한참을 기다리니 마을버스가  멀리서 굴다리방향으로 진입하는걸, 소리쳐서 탑승하고 영해 버스터미널로 이동한다.

영해버스터미널.

터미널 천정에 제비가 둥지를 틀었네요.

제비가족들. 한시간 후 대구행 버스를 타고 무사히 귀가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