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해파랑길 제22코스[축산-대소산 봉수대-이색기념관-괴시리 전통마을-대진항-고래불 해수욕장[병곡]3.

해파랑길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3. 17. 10:50

본문

괴시리 전통마을.

전통마을로 내려가지않고, 홍련암으로 향한다.

연화산 홍련암 일주문.

인상 좋으신 포대화상께서 반겨주신다.

황금빛 부처님이 좌정하고 계시고, 주위에 석상군들이 호위하고 계신다.

측면에서의 부처님 모습.

삼성각.

수국화 사이로 용왕각도 모서져 있다.

붉은 수국화.

하얀 수국화.

산수국.

종무소와 대웅전. 아담한 가람이다.

대웅전 내부.

석탑과 석등.

괴시리 전통 마을

홍련암을 뒤로하고 전통마을로 내려간다.

한산이씨 대종회의 현수막.

석류꽃.

괴시리마을 고택문화 체험.

괴시리 괴정 안내문.

괴정. 고려말 대 유학자인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의 유허지에, 괴정 남준형이 지은 정자.

괴정의 옆모습.

한옥전통마을 모습

해촌고택 안내문.

해촌고택.

목은 이색을 낳은 영양 남씨의 400년된 세거지, 목은의  외가마을 이기도 하다.

구계댁. ㅁ자형의 가옥으로 서향으로 자리잡고 있으나,사랑채는 남향으로 배치.

영은고택 안내문.

영은고택. 남공수 공이 건립, 전면 좌우측에 처마를 달아, 팔작지붕의 박공부분이 보인다.

이색이 원나라 유학길에,중국 구양박사방의 괴시마을과 이곳 호지촌마을이 유사하다하여 괴시마을로 이름 지었다.

괴정 지당 안내문.

정마루에서 지당을 조망할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다 한다.

복원된 지당의 모습. 복원과정에서 35점의 유물이 출토 되었다.

시비가 있는 공간.

지당 뒷편공간에 시비를 건립. "영해를 생각하다" 목은 이색.

"삼을 심으면서" 괴정 남준형.

안내문.

괴시리 전통 윗마을 전경.

괴시리 전통 아래마을 전경.

아래마을의 "동신"나무에 세워진 벅수[서낭]

하얀비석에 "축귀장군남정중" 명문을 새긴 법수를 세웠다.

어느 해인가? 마을에 괴질이 들어와 젊은사람들이 죽어 나가자, 마을노인 꿈에 신령이 나타나 벅수를 세웠더니, 질병과 재액은 사라지고 마을은 큰 풍년이 들었다고 함.

괴시리 전통마을 벽화.

괴시리 전통마을 안내문.

유허비각.

가정 이곡선생과, 목은 이색 선생의 유적을 추모하는 유허비각.

가정,목은 양선생 유허비.

전통마을을 뒤로하고,대진항으로이동한다.

상대산 정상부의 관어대.

산 수국화.

원추리.

안내 간판.

쉼터공간의 목은 선생.

예주 목은 명품길.

영해 하수 처리 시설.

우측도로 로 이동한다.

도로 중앙에 큰 소나무와 노란 건물이 보이길래...

낡은 성황당 이네요..보수가 아쉽네요...

붉은색 알스트로메리아.

노란색 알스트로메리아  맞는가?

가는 동자꽃.

청포도 피는 계절

동부초등학교 지진해일 대피로.

관대길 도로따라 오른다.

대진마을 가는길.

천장군 신위. 옛날 천씨 성을 가진 장군.호환이 많은 마을에 평화를 가져다 주었다.

대진2리 옛 우물.

우물에 물이 고여 있네요.

대진2리 마을 표지석.

대진항.

대진항의 대진정.

대게 조형물.

대진항.

도해단.

벽산 김도현 의병장의 유시[절명시].

의병장 김도현

의병장의 활동을 그림과 글로 표현.

의병을 일으키고...

도해단, 국가보훈처지정 현충시설

도해순국한 벽산 김도현 산생의 도해단 안내문.

산수암.

"천추대의" 고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조선의사 벽산김선생 도해비.

벽산선생 김도현 도해비.

대진1리 방파제.

대진항 방파제.

도해단 앞바다.

바다를 밞고 순국하다.

도해라는 말은 "진나라가 천하를 차지 한다면,바다를 밞고 들어가 죽겠다"고 중국제나라 노중련의 이야기에서 나온 말이다, 하지만 그는 죽지 않았다. 그런데 이곳 영해에서 실제로 목숨을 던져 절의를 지킨 인물이 있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