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월 구봉대산-사자산 법흥사2.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3. 11. 10:05

본문

영월 사자산 법흥사, 석분과 부도 [강원도 유형 문화재 제 109호, 제 73호]

운해의 바다.

 산을 감싸 안으며 운해는 이동한다.

 법흥사가 운해 사이로 조망된다.

사봉[관대봉] 인간이 벼슬길에 나아감을 의미한다. 

관대봉 앞의 바위 전망대.

울릉국화.

헬기장.

영월군 무릉도원면.안내 위치번호.

삼봉가는 길.

삼봉[장생봉].인간이 유년, 청년기를 지나는 과정을 의미한다.

어버이 품을 떠나서야 비로소 부모맘을 알게 되지요.

장생봉에서의 단체사진.

이봉[아이봉] 인간이 세상에 태어남을 나타내고.

아이봉에서의 단체사진.

일봉[양이봉].부모님의 금실자락으로,어머님 뱃속에 잉태함을 의미한다.

아기를 잉태한 어머니의 마음은,오로지 뱃속의 아기가 건강하기만을 바랍니다.

9봉에서 1봉까지의 산행을 마치고,   고문님께서 표지기를 남겼네요.

구봉산은 각 봉우리마다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과정을 봉우리 명칭으로 사용하여 이색적인 감흥을 주고 있다.

널목재

법흥사 주차장 가는길.

구봉대산 등산 안내도.

법흥사 주차장으로 하산한다.

마지막 계곡.

구봉대산 안내도.

법흥사 입구 이정표.

넓은 등산로를 편안하게 하산한다.

망태버섯.

노란 망태버섯의 자태.

하산길에서 잠시 한컷.

계곡의 돌탑들.

고비.

법흥사 주차장 0.3km

목교를 건너고.

소나무 숲 힐링공간.

입출구  지지대가 있는 목교.

목교 다리위에서.

일봉에서~

~구봉까지의 태어나서 죽을때 까지의, 과정을 봉우리로 명칭 설명 하였다.

사자산 법흥사 전경.

지나온 등산로를 기러기 바위? 가 등산객들을 보고 있는듯한 모습이다.

법흥사 주차장에 대기중인 산악버스.

사자산 적멸보궁 법흥사 안내도.

법흥사 안내문.

원음루 2층  누각에는 부처님의 법을 전하는 사물중 법고,운판,목어가 있고.

금강문 1층은 사찰을 수호하는 호법신장 금강역사가 사악한 무리를 지키는 문으로 되어있다.

울릉국화, 쑥부쟁이...

범종각과 극락전.

약수터.

만다라전.티베트 불교를 상징하는 불화로,2003년 티베트 스님들이 법흥사 법회때 조성하였다 한다.

적멸보궁

적멸보궁 가는길.

적멸보궁에는 부처님의 진신 사리를 모시기 때문에,불상이나 불화 같은것은 없다.

사리를 적멸보궁 내부에 안치하는것이 아니라, 건물밖에 사리탑이나 제단 같은곳에 모시기 때문에 그 쪽 벽면은 펑 뚫어놓는다.[유리 벽]

유리벽 너머, 사자를 닮았다는 사자산 봉우리가 3개나 보이고, 유리창에서 똑바로 뻗으면 사자의 귀 부분에 닿는데,그 곳에 진신사리가 봉안 되어 있다고 한다.

보궁내의 부처님.

영흥 법흥사 부도탑.

부도 앞 뒤 양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들이 새겨져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중 4 곳의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곳이다[폄]

법흥사 석분 안내문.

자장율사가 도를 닦은 토굴이라고 한다.석분 형식으로 외부는 흙으로 봉분을,내부는 석실 형식이다.  90 +150=160 cm 크기의 사방으로 돌을 쌓고,천정에는 한 판의 돌을 얹었다.

부처님 열반 조각물.

평화의 불.

대체로 이 곳을 찾는 분들은,적멸보궁뒤 석분옆에 있는 부도를 진신사리 탑으로 알고있다.

절에서는 그 곳이 진신사리가 안치했는 장소가 아니라고,알기쉽게 설명을 해 주었으면...

약사전과 운무속의 연화봉.

적멸보궁 탐방을 마치고 다시 내려온다.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안내문.

향나무밑, 징효국사 부도[유형 문화재 제72호]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보물 제612 호]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보물 제612 호]

종무소와 흥녕원.

석축담장.

원음루와 다향원 앞에서,퇴직한 전 회사직원

백리향 꽃.

식사와 한잔 술로 갈증을 해소하고.

산골 식당에서 하산주를 하고, 우중산행이지만 모두 수고하셨고 무탈산행에 감사 드린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