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봉지맥1구간;분기봉-달재(2)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6. 27. 19:39

본문

신덕산 정상.

신덕산 마루석은 없고 이정표에 새겨져 있다.

잡목과 수풀로 주위는 덮여있다.

신덕산 표지목.

쉼터에서 식사를 하시고, 우리는 좌측길의 동쪽으로 이동한다.

간벌지대.

소나무를 어떤 이유인지 모르지만 잘라내고 편백묘목을 심어 놓았다.

지맥의 훼손을 다시 느낄수가 있다. 자연은 자연 그대로가 조은데...개발을 하는지.

잘려진 나무와 훼손된 우봉지맥.

구오목 고개.

구오목 고개를 오른다.

고개위에서 우측으로 접어들고, 자리를 잡아 점심을 먹는다.

지나온 신덕산과 도로.

373봉.

낙엽길을 헤치며 오른다.

산불감시초소가 나타난다.

우봉산 산마루 이다.

정상주위는 평지로 구성 되어있다.

지나온 마루금.

후미조 단체사진 인증샷.

마루석은 없고 초소옆에 우봉산 표지기만 달려 있다.

감시원은 있는것 같은데 우찌 얼굴을 내밀지 않는다.

우봉산, 명색이  우봉지맥 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산인데 마루석이 없어 아쉽다.

전망이 확트인 장소인데 시계가 흐리다.

삼각점표시판.

우봉산 삼각점.

산불감시초소에서  좌측 동쪽으로 내려간다.

때이른 산철쭉.

백합모양의 하얀 산철쭉의 자태.

잠시 한장을 남긴다.

임도.

양지꽃.

임도따라 이동.

장군당재 삼거리.

임도를 벗어나 바로 산으로 오른다.

자잔한 잡목과 가시들이 있는 소나무 사이길을 헤쳐나간다.

막실고개.

1011지방도로. 유곡면 을 알리는 표지석.

정곡면 방향, 막실재 이기도 한다.

막실재 위방향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다.

일부는 산으로,일부는 임도를 따라 이동한다.

임도옆에 집이 있길래

유곡농원. 

삼거리 이정표.

지맥길은 산으로 이동해야하는데...임도로 

임도로 이동,  좌측 세간마을 방면으로 이동.

벛꽃.

차단막 삼거리.

삼거리에서 휴식

임도가 편하지만 지루하고 멀다.

하빈이씨 숭조당.

달재, 절개지 이기에 왼쪽 임도를 따라 간다.

달재 절개지.

산 복숭아 꽃.

아래로 내려온다.

20번 국도  벌재.

무사히 산행종료.

벚꽃

6월1일은 의병의 날.

야산 삼거리.

야산마을 버스 정류장 , 기다리고 있는 선두조와 만난다.

벌재로 가는 20 도로와 , 일붕사로 가는 1041 도로

마을 버스를 타고 신반버스 합동터미널 도착.

신반-대구행 버스 시간표.

신반 시장.

시장 입구 낚지뽁음 식당에서 하산주를 하며, 오늘도 즐산 안산 에 고맙게 생각한다.

18시 50분 대구행 막차버스.

박태기 나무 꽃,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