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구미냉산-도리사3.

등산.산,여행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3. 3. 13. 20:52

본문

아도화상[묵호자]

산사의 선문.

나무테크를 지나 도리사로 향한다.

아도화상이 황악산 아래의 절터를 가르키고 있는 부조.

그곳이 유명한 황악산 직지사 이네요.

시원한 산림체험장.

신라 눌지왕의 성국공주가 병으로 누워 있을때, 향을 피워 기도로써 공주의 병을 낳게 하였다는 부조.

아도화상과 향 설명문.

서대 전망대 이정표.

도리사 현 위치도.

도리사 안내도.

도리사는 417년 고구려 승려인 묵호자[얼굴이 검은 이방인]가 창건, 신라불교의 최초 발상지 사찰 이기도 하다.

도리사 에 위치한 암자와 문화재.

솔향기 풍기는 산림 체험장.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 전진의 승려 "순도"가 불상과 경문을 전하고, 백제 침류왕 때 동진의 마라난타승이 전하였고, 신라 19대 눌지 마립간 때 묵호자가 모례의집 에서 땅굴을 파고 전하였다.

적멸보궁옆의 팔정도. 불교 수행에서의 8가지 올바른 길을 알려주는 수레바퀴로 "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 정념. 정정진. 정정을 말하며, 팔정도 수레바퀴를 아도 화상이 끌고 모례장자가 밀고있는 모습.

팔정도 밑의 복대화상.

석가여래 사리탑.

세존진신사리탑 안내비.

적멸보궁 뒷편의 석가여래 사리탑이 불상을 대신하고 있다.

적멸도량을 뜻하는 전각으로,불사리를 모심 으로써 부처님이 항상 이곳에서 적멸의 낙을 누리고 있는 곳임을 상징 한다.  

앞의 설선당 뒷모습.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적멸보궁은 양산 영취산 통도사, 평창 오대산 상원사, 설악산 봉정암, 영월 사자산 법흥사, 정선 태백산 정암사, 가 5대 적멸보궁 사찰로 유명하며, 금강산 건봉사, 비슬산 용연사, 냉산 도리사는 8대 보궁사찰로 알려져 있다.

예전에 석가여래 진신사리탑만 있었는데, 좌우 부처님상이 모서져 있네요.

한국의 석등.

사리탑 안내문.

적멸보궁 오르는 계단입구에 동자승이 환하게 미소짓고 있다.

범종각의 신라의 미소"수막새".

  의상조사의 법성계. 조사께서 신라 무열왕때 중국에서 화엄경을 연구하면서 그 뜻을 요약하여 게송으로 지은 노래이다.   법성원융무이상,[둥글고 묘한 법 참 진리의 모습이여]                                                              제법부동본래적,[고요할 뿐 동작 없는 삼라의 바탕이여]                       

설선당.

수선당.

아도화상 동상.

아도화상 일명 묵호자.

아도화상 초상.

도리사 경내.

아도화상을 참배하고 계단으로 내려온다.

고려말 공민왕의 왕사인 나옹스님의 시로.

종무소 및 동국최초가람 편액 밑의 템풀스테이.

템풀 스테이의 모례장자방, 고도령[고구려 아도화상의 모친]방, 아굴마[위나라 아도화상의 부친]방, 아굴마는 위나라의 사신으로 와서, 고구려 여인 고도령을 만나  아도를 낳았다 한다. 

태조선원.

스님들이 공부하는 선방,  야은 길재선생이 스님에게 글을 배웠고, 운봉성수,성철 큰 스님도 정진 하였던 곳이다.

태조선원 안내문.

연등꽃.

포대화상의 배를 만지고 소원 빌어 봅니다.

정면3칸 인 극락전.지붕 상단에 2개의, 투구형 모습의 치미가 마주하고 있다. 

측면3칸 팔작지붕의 다포계 건물.

1645년에 제작된 목조아미타 여래좌상이 봉안 되어 있다.

석종형 부도의 세존 사리탑.

부도밑에 마련된 육각형 시리공 안에서 "금동육각사리함"[국보 제208호]발견.  사리함 내부부처님 진신사리1과 봉안되어 적멸보궁 뒷편 진신사리탑에 모서져 있다.

세존사리탑 안내문.

삼성각.

도리사 석탑[보물 제470호]

고려시대의 석탑이며 일반적인 석탑과 전혀 다르고,희귀한 모습을 담고 있다.

아도화상 좌선대 가는길.

돌탑

아도화상 사적비와 도리사 불량탑 사주질비.

아도화상 사적비는 효종때 아동화상에 의해 신라에 불교를 전한 사적을 적은것이고, 불량탑 시주질비는 도리사에 논과밭을 시주한 사람들의 이름과 양을 기록한 비석.

좌선대 안내문.

 이곳 좌선대에서 정진하고 있었던 아도 화상

고인돌처럼 생긴 좌선대.

모례장자가 칡넝쿨을 따라 오르다가, 이곳 좌선대에서 정진하고 있는 아도 화상을 만났다

칡넝쿨에 얽힌사연.

도리사 창건 부조물.

추운겨울에 복사꽃과 오얏꽃이 활짝 만개하여 도리사 창건.

제2주차장 가는 이정표.

도리사 제2주차장 안내표.

주차장으로 들어선다.

산행을 무사히 마침.

 

 

 

 

 

 

 

 

 

 

 

 

 

'등산.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도리-남성현재-팔조령2  (0) 2023.03.13
하도리-남성현재-팔조령1  (0) 2023.03.13
구미 냉산-도리사2.  (0) 2023.03.13
구미 냉산-도리사1.  (1) 2023.03.13
낙동정맥1구간[삼수령-통리역]3.  (0) 2023.03.13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