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경선-구미 채미정-금오저수지 올레길(1)

비슬산 둘레길 및 각 지방의 누리길

by 영구[영원한 친구] 2025. 4. 5. 12:13

본문

야은 길재 선생의 "회고가"

경산역.

경산역 대합실의 캘리그라프 시 서 화 전. "행복아  꼭 붙어 있으라"

행복아.

홍수경 교수 활동경력.

변만이 자신의 꿈을 실현 할수있다.

안스리움꽃, 꽃말은 불멸의 사랑, 열정.

대경선 1회용 발매 경로무임 70세.

교통카드로 체크인 하고.

대기중인 대경선을 타고 구미 금오지 올레길 탐방.

경산-구미 7개역사  1시간 소요, 원대.북삼 역사는 공사 중.

경산에서 구미 구간을 운행하는 대경선, 차량이 2개이다.

구미역.

27번 버스를 타고 금오산 버스정류장 하차.

금오산 올레길 안내도.

올레길 테크로드.

금오정과 금오 저수지.

금오정을 댕겨본다.

24시간 잠들지 않는 구미 경찰.

금오산 오리배.

금오산 현월봉.

줌으로 댕긴 현월봉.

구미 성리학 역사관.

금오지와 테크로드.

타니핑랜드 대관람차.

금오랜드 티니핑랜드.

애국지사  박희광 선생 동상.

박희광은 만주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 통의부, 참의부에서 활동하였으며,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일본 영사관 습격, 친일파 정갑주와 가족 암살, 독립운동가 체포를 위해 활동한 스파이 배정자(裵貞子, 일본식 이름: 다야마 사다코)·이용구· 최정규 암살 임무 등 남만주 일대에서 조선인을 학살과 약탈을 일삼던 친일파 척결과 항일 독립운동 단체에 무기와 군자금을 조달 하였다.  대구광역시 두류공원 내 조각 공원에 흉상이 세워졌다.(폄)

하얀 벚꽃의 향연.

솔밭 휴식공간을 지나며.

개천따라 채미정 으로 오른다.

채미정 입구 다리.

채미정 정화 기념비.

채미정 안내도.

회고가.

하마비.

야은 길재의 충절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선 영조 44년(1768)에 건립한 정자이다

솔밭이 내려다 보는 개천 하부.

흥기문.

좌측의 구인제.

우측의 채미정. 

경모각으로 들어서는 문.

경모각.

야은 길재선생 영정.

길재의 충절을 기린 숙종의 ‘어필오언구’

길재는 고려 시대인 1386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성균관 박사를 거쳐 문하주서에 올랐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 왕조가 들어서면서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 하여 벼슬을 사양하고 선산에 은거하면서 절의를 지켰다. 

자목련이 꽃망울 터뜨릴 준비를 한다.

유허비각.

고려 문화주서 길선생 유허비.

두개의 협문.

‘채미’란 이름은 길재가 고려 왕조에 절의를 지킨 것을 중국의 충신 백이 숙제가 고사리를 캐던 고사에 비유하여 명명한 것이다.  

채미정 안내문.

협문.

채미정을 관리하는  관리사.

우측에 있는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팔작집이다.

구인제.

담장과 함께한 나무.

채미정은 명승 제 52호.

탐방을 마치고 징검다리를 건넌다.

솔향기 그득한 솔밭을 내려간다.

아름드리 구부러진 소나무.

율정박선생기적비,   합천군 대병면 회양리 율정마을 의 밀양박씨 박희선 선생을 말하는가?

희늘어진 벚꽃나무.

금오랜드 놀이공원의 대 관람차.

백운교.

금오 저수지.

구미 성리학 역사관 표지석.

성리학 역사관 정문.

금오정.

관련글 더보기